이 지역은 본래 광주부 일용면 지역으로 1789년 수원부로 편입되었다. 1899년 발간된 『수원군읍지』에 '대송죽리(大松竹里)'로 표기되어 있다. 1914년 4월 1일 일제에 의한 수원군의 동리 명칭 및 구역 변경 때, 송죽동을 '송죽리' 라 하여 일형면 관할이 되었다. 이 때 일형면의 소재지가 이 곳에 있었다. 1931년 4월 1일 수원면이 읍으로 승격하고, 1936년 일형면과 의왕면이 통합되어 일왕면이 되었다. 이 때 송죽리는 수원군 일왕면에 소속되었다.
해방 후인 1949년 8월 15일 수원읍 지역이 수원시로 승격되자, 이 지역은 화성군 일왕면 송죽리로 개편되었다. 이후 1963년 1월 1일자 법률 제1175호에 의하여 화성군 일왕면에서 수원시로 편입되었다. 이 때 영화동, 조원리와 함께 영화동 관할이 되었다. 1979년 4월 30일 시 조례 제878호로 영화동을 영화동과 송원동으로 분동하였다. 이후 1990년 5월 20일 시 조례 제1673호로 송원동을 송죽동과 송죽동으로 분동하였다. 1992년 8월 11일 수원시 조례 제1816호에 의하여, 송죽동 일부가 파장동에 편입되었다. 1993년 4월 12일 수원시 조례 제1848호로 송죽동 일부가 송죽동에 편입되었다.
1997년 12월 31일 현재 송죽동의 면적은 1.66㎢이다. '송죽(松竹)'이라는 동이름은, 이 지역이 예전부터 소나무와 대나무가 많아서 '솔대' 또는 '송죽'이라 불리던 것을 이어 받은 것이다.
고래·말배미·마궁고리
고래는 송죽동 452-1번지에 있는 지명으로서 일명 말배미, 마궁고리라고도 한다. 이 곳은 현재 경기일보가 있는 곳으로서'냉밑에'아래쪽 산업 도로 건너에 있는 지점이다. 주민들은 이 곳에 있는 샘에서 나는 물이 하천에 흐르는 물처럼 많아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그렇다면'말배미'는'물이 많이 나는 논'이란 뜻의'물배미'라고 해석을 할 수 있겠다. 그리고'고래'라는 지명은'바닥이 깊숙하고 물길이 좋아 기름진 논'이란 뜻의'고래실'을 말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구기(龜起)약수터
구기 약수터는 송죽동 산 4-3번지에 위치하고 있는데, 오딧물에서 위쪽으로 조금만 더 올라가 신갈-안산 고속 도로 밑이다. 송죽동은 원래 용씨 집성촌으로 이 곳에 사는 용환창 씨의 6대조 할아버지의 함자가 용구기로서 약수터 윗쪽에 산소가 있다고 한다. 따라서 마을 사람들이 6대조 할아버지의 이름을 따서 구기 약수터라고 불렀다고 전한다.
금 바위·거북 바위·두껍 바위
금 바위는 다른 이름으로'거북 바위','두껍 바위'로 불리며 송죽동 산 5-2번지 쇠죽골 안에 있다. 이 바위는 생김새가 거북 모양, 또는 두꺼비 모양으로 되어 있어 이렇게 부르기도 한다. 이 바위는 머리가 서해를 향하고 있으며 맑은 날 이 바위 위에 올라서면 서해 바다가 보인다고 한다. 금 바위는 마을 사람들이 마을 신앙의 대상으로 모시고 있어 굿이나 푸닥거리가 자주 열리며 개인적인 소원을 빌기 위해 촛불을 켜놓고 기원을 하는 사람들이 끊이지 않는다. 이 금 바위라는 명칭은 훼손을 시키면 안되는 신성한 바위라는 의미가 있다고 본다. 일례로 수원시의 인근 오산에도 금암동이란 지명이 있는데 10여 년 전 조사 결과 선사 시대의 고인돌이 십 수 기 발견된 적이 있어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이'금암'은 바로'금 바위'란 뜻으로 함부로 범접하지 말라는 경고의 의미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주민들 간에는 이 바위에 자기의 이름을 써넣으면 좋은 일이 생긴다고 전해 오고 있다. 이는 산기도를 하면서 신앙 대상 바위에 기복을 원하는 사람의 이름을 흰색 물감으로 써넣고 비는 행위를 말하는 것 같다. 한편 어떤 주민들은 금 바위가 금이 나오는 바위여서 일제 시대에 금을 캐기 위해 바위를 뚫어 놓았다고 하기도 한다.
금암 약수터
금암 약수터는 송죽동 산 5-2번지 금 바위, 송장 바위, 서낭뎅이 근처에 있는 약수터를 말한다.'금암'이라는 명칭은 아마도 부근에 있는 금 바위를 지칭하는 듯하다.
냉밑에
냉밑에는 송죽동 202-4번지에 있다. 현재 아파트 공사가 한창 진행되고 있는 한일 타운 바로 옆 지역으로 경기일보 맞은 편 길 건너에 위치해 있다. 이 곳에는 옛날에 참외를 심었는데 물이 너무 차서 농사가 되질 않자, 참외 농사를 포기하고 왕골을 심었다고 해서 차갑다는 뜻으로'냉(冷)'자 지명을 사용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당골
당골은 쇠죽골의 오른쪽에 있는 골짜기로서 송죽동 15번지, 16번지 일대를 가리킨다. 왜 당골이라는 지명이 생겼는지는 모르나 다른 지역에서도 자주 발견되는 동일한 지명들이 거의 모두 산신당, 또는 서낭당 등의 당집이 있었기 때문이라는 사실로 미루어 아마 이 곳에도 오래 전에 당집이 있었지 않았나 생각된다.
대동 우물
대동 우물은 송죽동 65번지에 있다. 현재 경기 과학 고등학교 아래 영광 아파트가 있는 지역이다. 주민들에 따르면 약 80여 년 전부터 그리 깊지 않은 우물에서 많은 물이 솟아 올라와 온 동네 사람들이 모두 먹었다고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전해진다. 현재는 도시 개발로 주택 단지가 들어서면서 우물이 메워졌는데 주민들이 그 자리에 느티나무 두 그루를 심어 표시를 해놓았다고 한다.
만석 공원(萬石公園)
잔디 면적은 47,654㎡이다. 주요 시설로는 테니스장, 게이트볼장, 배드민턴장, 영화정,,96,00㎡의 다목적 운동장 등이 있다.'만석'이라는 공원 이름은 만석거 주변에 있기 때문에 붙여진 것이다.
무드리
무드리는 송죽동 492번지 수원 종합 운동장 야구장 북서쪽 길건너, 대신 아파트 남쪽에 있는 상가이다. 무드리라는 지명은 예전에 이 곳에 있었던 논에 물을 대면 땅 속으로 금방 스며들어 물이 고이지 않았다는 데서 유래 됐다고 한다. 즉'물이 들어가는(스미는) 곳'이란 뜻이라고 보면 될 것 같다.
방아골
방아골은 경기 과학 고등학교 뒤편 지역 송죽동 산 24-4번지 일대를 말한다. 방아골이란 지명은 이 곳에 옛날 곡식을 찧는 방앗간(물방아나 연자방아)이 있었기 때문에 붙여졌다고 한다.
삼박골·산막골
삼박골은 일명 산막골이라고 불려지며 송죽동 91번지부터 위쪽 일대의 골짜기, 즉 수일 중학교 뒤편이다. 이 곳 사람들은 산골짜기에 조그마한 바가지 3개를 엎어 놓은 것 같다고 해서 삼박골이라고 부르고 있다. 그러나 지도에는 산막골로 표기가 되어 있는데 현지를 돌아본 결과 아마도'밭이 있는 산골짜기'라는 뜻인'산밭골'에서 산막골이나 삼박골로 변한 것이 아닌가 한다.
서낭뎅이·성황당
서낭뎅이는 송죽동 산 5-1번지, 쇠죽골에 있는데 송장 바위 옆, 사람으로 치면 발끝 지점에 있는 돌무더기이다. 이 곳에는 지나가는 사람들이 돌을 하나씩 던져 놓으면서 치성을 드리곤 한다. 서낭당이라고 불리긴 하지만 이 곳에는 당집이 없으며 단지 나무와 그 주변의 돌무더기만 있을 뿐이다.
솔대
솔대는 현재 송죽동의 중심 지역을 말한다. 일왕 저수지의 동쪽에 위치하고 있는 지역으로 예전에 소나무와 대나무가 많아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하며 한자로 표기하면 송죽(松竹)이다.주민들에 따르면 이 곳에는 원래 소나무가 많았는데 정조가 내탕금으로 인공 조림한 소나무가 더해지고 그 밖에 대나무와 갈대가 많아 아름다운 풍경을 이루었다고 해서'솔대'라 이름지어졌다고 한다.
그런데 경기도 수원 지방에는 호남, 충청 지역과 달리 기후와 토질의 여건상 대나무가 숲을 이룰 정도로 무성하지 않다. 따라서 솔나무와 대나무가 우거져 솔대라고 했다는 것은 설득력이 없다. 차라리'소나무가 우거진 등성이', 즉'솔등성이'가'솔등이'가 되고'솔뎅이','솔댕이'또는'솔띠'가 되었다가'솔대'로 굳어지는 변천 과정을 겪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든다. 이러한 예는 봉담읍 왕림리의'갓등이'라는 지명이'갓띠'라는 지명과 함께 쓰이는 사실에서도 알 수 있다. 또 이 마을이 있는 뒤쪽 골짜기를'쇠죽골', 또는'소죽골'이라고 하는데 소죽골의'쇠'또는'소'가'솔[松]'이 되고'죽'이'대[竹]'가 되는 과정을 거쳐 솔대라는 지명으로 발전하지 않았나 하는 추측이 들기도 한다.
이 지역에는 정조와 관련된 전설이 전해 내려 온다. 어느 해인가 정조의 능행차 때 어가 행렬이 이 곳을 지나가게 되었다. 정조는 눈 앞에 펼쳐진 만석거의 아름다움에 행차를 멈춰 쉬어 가라고 명했다. 그리고 신하에게 만석거 너머 솔대골을 가리키며'저 마을에는 누가 사는가'하고 물었다. 신하들이 용(龍)씨 성을 가진 사람들이 살고 있다고 아뢰자, 왕은'이 곳의 지형이 용이 여의주를 입에 문 형상이라 인재가 나지 않으면 역적이 날 것'이라 생각하고, 용은 여의주가 없으면 힘을 못쓰니'용(龍)'자에서 여의주를 나타내는'복(卜)자를 떼어내고 사용하라고 명했다고 한다. 따라서 제대로 된'용(龍)'자는「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에서만 사용하게 하고 다른 글씨에는 사용하지 못하게 했다는 것이다. 그러다가 후세에 다시 점복(卜)자를 붙여 쓰게 됐다고 전한다.
송장 바위
송장 바위는 송죽동 산 5-2번지 쇠죽골에 있는데 금 바위(일명 거북 바위 : 두꺼비 바위)에서 아랫쪽으로 200~300m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송장 바위는 사람이 죽어 누워있는 형상을 하고 있다고 해서 이런 이름이 붙여 졌다고 한다.
쇠죽골·소죽골
쇠죽골은 수일 중학교와 경기 과학 고등학교 사이에서부터 형성된 긴 골짜기, 다시 말해서 솔대 마을의 윗쪽 골짜기를 말한다. 여기에서'쇠'라는 뜻은 쇠[鐵]나 소[牛]의 뜻일 수도 있으나 '사이[間]'에서 변형된 말일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일부 주민들의 주장처럼'소에게 쇠죽이나 여물을 먹이던 곳'이란 뜻이 아니라'사이에 있는 골짜기','사잇골','샛골'에서 음의 변화가 이루어져'쇠죽골'이 되었을 수도 있다. 또 이 골짜기 입구의 마을을'솔대골', 또는'솔대'라고 해서 오늘날'송죽(松竹)'이라고 불리는데 쇠죽골과 소죽골의 '쇠'또는'소'가'솔[松]'이 되고'죽'이'대[竹]'가 되는 과정을 거쳐 솔대라는 지명으로 발전하지 않았나 하는 추측이 들기도 한다.
오딧물
오딧물은 송죽동 10-1번지에 있었던 샘물이다. 예전에 이 샘물은 바위틈에서 솟아나는 아주 차고 맑은 물로서 옻오른 사람이 이 물로 목욕을 하면 효험을 본다고 해서'옻우물'로 불리다가 나중에 오두물>오뒷물>오딧물로 음의 변화가 이어진 것으로 보고 있다. 이 오딧물은 옆으로 흐르는 도랑물이 아랫쪽으로 깊게 패어 나가면서 점차 상층부에 위치하게 된 탓에 물의 뿌리가 말라버려 지금은 사라져 버렸다. 이 오딧물이 있던 자리 바로 옆에는 낚시터가 들어섰다.
진탕재
진탕재는 송죽동 산 5-2번지 금암 약수터가 있는 고개를 말한다. 금암 약수터의 물이 사시사철 얼지 않고 흘러 넘치기 때문에 이 부근 고개마루가 항상 진흙탕(진탕)을 이루고 있어서 이런 이름이 붙었다고 생각된다.
채나무골
채나무골은 송죽동 35번지부터 43번지에 이르는 지역을 이른다. 지금은 신갈- 안산 고속 도로가 채나무골의 허리를 갈라놓아 옛 모습은 달라졌다. 채나무골에 대한 유래를 아는 주민은 만날 수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