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자3동은 본래 광주부 일용면 지역으로 1789년 수원부로 편입되었다.
1899 년 발간된『수원군읍지』에 '정자리(亭子里)'로 표기되어 있다.
1914년 4월 1 일 일제에 의한 수원군의 동리 명칭 및 구역 변경 때 진목동, 천천동을 천천리 라 하여 일형면 관할이 되었다.
1931년 4월 1일 수원면이 읍으로 승격되고, 1936 년 10월 1일 일형면과 의왕면이 통합되어 일왕면이 되었다. 이 때 일왕면에 소속 되었다.
해방 후인 1949년 8월 15일 수원읍 지역이 수원시로 승격되자, 이 지역은 화 성군 일왕면 정자리로 개편되었다. 이후 1963년 1월1일자(법률 제1175호)로 화 성군 일왕면에서 수원시로 편입되었다. 이 때 파장리, 이목리, 율전리, 천천리 등과 함께 행정동인 파정동 관할이 되었다.
이후 1983년 10월 1일 수원시 조례 제1139호에 의하여, 파정동에서 분리되어 정자동이 되었다.
그리고 1990년 1월 1 일 수원시 조례 제1607호에 의하여, 정자3동과 정자3동으로 분리되었다.
1997 년 12월 31일 현재, 정자3동의 면적은 2.47㎢이었고 정자지구내 아파트가 들어서면서 인구가 급증하여 2003년 2월 10일 자로 정자1동에서 정자3동으로 분리되었으며 현재 면적은 1.26이㎢이고 2003년 6월 30일 기준 8.496세대 25,401명이 거주하고 있다.
정자(亭子)'라는 동 이름은 이 지역에 영화정[迎華亭 : 일명 교구정(交龜亭)] 등의 정자가 있기 때문에 붙여진 것이라 전한다.
노루 마당
노루 마당은 현재 선경 화학 공장이 있는 곳으로 정자3동 633번지 일대이다. 주민들은 옛날에 이 곳에 노루가 많이 뛰어 놀았기 때문에 노루 마당이라고 했다 고 말한다. 그러나 땅 이름을 연구하는 학자들은'노루'라는 지명에 다른 견해 를 갖고 있다. 즉 노루[獐]가 아니라 '넓다'라는 뜻이 변했다는 것이다. 즉 '넓다'라는 뜻의'너르'가 음의 변화로'누르'가 되어'누렇다[黃]'라는 뜻으로 간 것도 있고,'노루[獐]'가 된 것도 있으며,'널[板]'로 되었다가 '날'이 되어'날다[飛]'의 뜻으로까지 가버린 것이 있다. 따라서 이 곳의 노 루 마당도'노루가 뛰어노는 마당'이 아니라'넓은 마당', 즉 넓고 평평한 땅 이었을 가능성이 많다. 실제로 이 곳은 깊은 산중도 아니어서 노루가 많이 뛰어 놀 가능성이 거의 없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렇듯'노루'지명이 들어 가는 곳 은 여기 말고도 광교산의 노루목이 있다. 또 전북 남원의 장항(獐項)이란 지명도 '노루목'즉'넓은 목'이란 옛 말이 변해 붙여진 것이라고 한다.
당뿌리
당뿌리는 정자3동 227-7번지로서 옛 당제 고개 남서쪽 끝 지역을 일컫는 말이 다. 현재 위치는 동남 보건 전문 대학 남쪽 경계 근처이며 아파트 건설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당제(堂祭) 고개
정자3동 247-1번지 일대로 현재는 아파트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바로 옆에는 동남 보건 전문 대학이 위치하고 있다. 이 곳은 60년대 초까지 율전동(밤밭), 천 천동(샘내), 장안문(북문)으로 통하는 큰 길이었으나 옆으로 국도, 산업 도로 등 이 나면서 통행인들이 감소되다가 개발로 인해 아파트가 들어서게 됐다. 이 곳 주민들에 따르면 오래 전에 이 고개에 상여를 넣어두는 작은 상여집이 있었으며 마을 사람들이 이 곳에서 제사를 지내기도 했다고 한다.
뒷내
뒷내는 선경 중앙 연구소 남쪽 담을 타고 흐르는 조그만 내로 정자3동 510번 지 일대에 있다. 뒷내라는 이름은 마을 뒷편에 흐르는 내라고 해서 붙여졌다고 한다. 일부는 복개되어 도로로 이용되고 있다.
등밑
뒷내는 선경 중앙 연구소 남쪽 담을 타고 흐르는 조그만 내로 정자3동 510번 지 일대에 있다. 뒷내라는 이름은 마을 뒷편에 흐르는 내라고 해서 붙여졌다고 한다. 일부는 복개되어 도로로 이용되고 있다.
말무덤
말무덤은 정자3동 588-8번지 일대 주택가를 말한다. 정확히는 선경 합섬 안에 있는 선경 체육관 북쪽 길(율목로) 건너이다. 주민들에 따르면 그 옛날 임진왜 란 때 어느 장군이 타고 가던 말이 죽자 말을 그 곳에 묻었다 하여 말무덤이라 는 이름이 생겨났다고 한다. 그러나 정말로 말이 묻혔기 때문에 말무덤이라고 했 는지는 알 수가 없다. 왜냐하면 수원 인근에는 몇 군데 말무덤이나 마총(馬塚), 또는 마하리라는 등의 말 과 관련된 지명이 있는데 대부분 말[馬]이 아니라'마 을', 또는'집단', 또는'산'이라는 뜻에서 파생된'말'임이 밝혀지고 있 기 때문이다. 특히 봉담면 마하리(馬霞里)의 산자락에 형성된 말무덤은 발굴 결 과 말[馬]이 아 니라 백제 시대 수 백 개의 고분군(古墳群)임이 밝혀져 학술적으 로 커다란 관심을 모으고 있다. 따라서 말무 덤이라는 지명은 실제로 말을 묻었 을 수도 있지만 옛날의 공동 묘지나, 큰 무덤을 뜻하는 고분(古墳)일 가능 성도 배제할 수 없다.
망월(望月)재
망월재는 정자3동 26-1번지 일대 얕은 야산(언덕이라고 해도 무방함)을 가리킨 다. 현재 동신 아파트 뒤쪽, 동남 보건 전문 대학에서 남동쪽에 있는 공원 용지 로서 당제 고개, 당뿌리가 모두 이 곳에 위치하고 있다. 주민들에 따르면 매년 정월 대보름이면 이 언덕의 가장 높은 곳에 올라가 달 을 보고 절을 하 면서 1년의 소원을 빌거나 농사의 풍흉(豊凶)을 점치기도 했다 는 것이다. 또 오래 전에는 이 곳에서 정월 대 보름 행사가 열리기도 했다고 하는 데 줄다리기, 제기차기, 망우려 등의 민속 놀이가 행해졌다고 한다. 이 때 의 줄 다리기는 요즘 마을 운동회나 학교 운동회에서 하는 작은 줄이 아니라 아름들이 동아줄로서 여자(암 줄)와 남자(숫줄), 또는 동편과 서편으로 나누어 놀이 를 벌였다고 한다. 경기의 승부는 이의동 길마재 줄다 리기나 고색동 줄다리기의 경우처럼 언제나 여자편이 이기도록 되어 있었다고 한다. 그래야 마을에 풍년이 들고 주민들이 무병장수(無病長壽)하게 된다고 한다. 망월재란 지명은 이 곳이 달을 보고 소원을 빌던 장소 라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또는 어린이들이 깡통에 불을 담아 돌리며 신나게 놀았던'망우려'를 하 던 장 소였다는 데서 망우려 고개, 망월재로 변화했다고 한다. 그러나 망우려라 는 말이'망월이여'라는 소리에서 연 유한다고 보았을 때 결국 같은 말이라 생각 된다.
못배미
정자3동에 있는 망월재의 동남 대학 쪽에 있는 논이나 지금은 택지로 바뀌었 다. 못배미라는 지명 은 예전에 이 곳에 연못이 있는 논이 있어서 붙여졌다고 한다.
목욕동(沐浴洞)·멱동
목욕동은 주민들이 멱동이라고 부르는 곳으로서 동신 아파트 자리이다. 예전에 는 이 곳이 산밑이었는데 질이 좋은 물이 나오는 샘이 있어서 그 물로 몸을 씻으 면 병이 나았다고 한다. 따라서 많은 주민들이 이 곳에서 목욕을 하며 몸을 씻었 다고 해서 이 마을을 목욕동, 또는 멱동이라고 했다는 것이다.
뫼골
뫼골은 현재 동신 1차 아파트가 들어서 있는 지역으로 정자3동 401번지 일대이 다. 옛날에는 이 곳에 밭이 있었다.
물방아 거리
물방아 거리는 정자3동 179-23번지 연초 제조창 뒤 만석거에서 흘러나오는 하 천과 선경 합 섬(주) 옆을 흘러 내려오는 서호천 상류의 물이 합해지는 지점에 있 었다고 한다. 이 개울물의 낙차를 이용, 물방아를 만들었다고 한다. 그러나 일 부 주민들은 물방아 거리의 위치를 다르게 설명하고 있다. 어떤 사람은 선경 중 앙 연구소 옆 내, 즉 뒷내와 선경 합섬(주) 옆으로 흐르는 내가 합쳐지는 지점 인 동남 보건 전문 대 학 옆 개천이라고 하는가 하면, 선경 중앙 연구소 좌우로 흘러내리다가 합쳐지는 지점이라고 각기 다른 의견 을 내놓기도 한다. 한편 율천 동 샘내 쪽에서는 연쟁이논, 물방아 거리논을 같은 것으로 보고 있으며 위치는 연초 제조창 쪽에 있다고 했는데 아마도 행정 구역만 다를 뿐, 같은 곳이라는 생각이 든다.
부석(浮石)소
부석소는 망월재의 남쪽 기슭, 즉 연쟁이들 쪽에 있는 산밑을 가리키는 것으로 써 주민들 은 돌이 떠 있는 곳이 있어서 그렇게 불러왔다고 하나 지금은 확인할 길이 없다.
불당골
불당골은 현재 송림 아파트가 들어서 있는 지역으로 행정상의 주소는 정자3동 423-1번지 이다. 주민들에 따르면 이 곳에는 예전에 부처가 모셔진 조그만 암자 가 있었다고 하는데, 물론 지금은 아파 트로 인해 흔적조차 찾아보기 힘들다.
복이 우물
복이 우물은 정자3동 429-1번지 송림 아파트 상가가 들어서 있는 곳으로 1번 국도 옆이다. 이 우물은 현재 정자동 일대 우물 중 가장 물이 풍부 하기로 유명 했다고 한다. 따라서 인근이 논에 가뭄의 걱 정이 없었다는 말이 전해져 내려온다.
산일정(山一亭)
산일정은 정자3동 487번지에 있었던 정자였으나 지금 1989년이 화재로 전소되 어 없어졌다. 이 정자는 정산(亭山)이란 호를 사용하던 참봉 조세현(趙世顯, 1865년생)이란 사람이 회갑을 맞은 기념으로 사재 논 100마지기를 팔아서 지었다 고 한다. 면적은 팔작 지붕에 4칸이었는데 1925년 정월에 착공해 5월 30 일 준공 했다는 기록이 있다. 이 곳에서는 지역의 유지나 풍류 가객들이 자주 찾아와 놀 다 가곤 했다는데, 융 릉과 건릉에 들리던 중앙의 관리들이 들려가기도 했다고 한 다. 정자동이라는 지명은 일명 조기정 방죽, 만석 거에 있던 교구정과 영화정 때 문에 생겼다는 설도 있다. 어느 것이 맞는지는 더 연구해 봐야 할 일이다.
새터말·신기(新基)
새터말은 망월재, 당제 고개가 있는 언덕에서 당뿌리 중간 쯤의 지명이다. 이 곳은 농 토가 매우 비옥했던 곳이라고 하나 지금은 개발로 인해 옛 모습을 찾기 어렵다. 새터말이란 지명은 새로 생긴 마을, 터를 뜻하는 신기(新基)라고 표기하 는 사람도 있으나 사잇말, 즉 간촌(間村)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 다.
⊙ 오리뜰 : 오리뜰은 현재 정자 1동 633번지 현재 선경 화학이 들어서 있는 곳이다. 원래 는 경사가 약한 산으로서 오리나무가 자생했다 하여 오리뜰이란 이름이 붙여졌다 고 한다. 주민들에 따르면 지금도 땅속에 그 뿌리의 흔적이 있다고 한다.
연쟁이들
연쟁이들은 정자3동 254번지 일대로서 연초 제조창 뒷편이다. 정자 지구 아파 트 공사가 한창 진행 중이다.'연정(連汀)'이라고 표기하기도 하는데, 왜 연쟁 이, 연정이라고 부르게 됐는지는 모른다. 이 근 처에는 물의 낙차를 이용한 물레 방아가 있었고 그 곳을 물방아 거리라고 부른다는 주민들의 증언이 있는데, 물방 아 근처에는 연자매(연자방아), 즉 말이나 소가 끌어 돌림으로써 곡식을 찧게 된 돌로 만든 큰 매가 있 는 경우가 더러 있었던 경우로 보아 혹시 이 곳에도 연자매간이 있었던 것이 아닐까 추측되는 것이다. 아니면 인근에라도 있었을 가 능성이 있다.
연자방아가 돌아가던 연자매간이 있었던 곳이므로 연자>연쟁이>연 쟁이 들로 변화하는 과정으로 추측해 보기란 어렵지 않다. 연정이란 표기 역시 연 쟁이를 한자식으로 표기하면서 변한 지명일 것이다.
영화정(迎華亭)
영화정은 정자동 만석거에 조성된 만석 공원에 있는 정자이다. 원래는 만석거 의 남쪽 언 덕에 자리하고 있었으나, 옛날에 없어지고 만석 공원을 조성하면서 원 래의 위치에서 동북쪽으로 약 200m를 옮겨 복원시켰다. 『화성성역의궤』에 나와 있는 영화정에 대한 기록을 보면, '을묘년(1795) 가을 부터 물을 받아 호수를 베풀고 그 곳 남안(南岸) 위쪽에 하나의 정자를 세우니 맑고 깨끗한 물과 평평한 기름진 들판을 내려다 볼 수 있어 여기에 올라가 바라 보는 경치는 경기와 호남을 제 마음대로 할 만한 경치이다.
정자는 대 략 8칸인 데 북쪽으로 세로로 2칸이 온돌이고, 남쪽으로 세로로 2칸은 포판인데, 3면과 온 돌 뒤쪽은 모두 퇴 를 반간씩 달고 하엽 난간으로 두르고 있다. 온돌 4면은 모두 쇄창 장자(쇄窓障子)를 들였다. 단확은 5토(土) 를 썼고 정자 서쪽에는 대문 을 내고 남쪽으로는 작은 문을 냈는데 둘레는 네모꼴 단장이다. 병진년(1796) 행 차시 영화정이란 편액을 달도록 했다(수원 유수 조심태가 글씨를 씀).'라 나와 있다. 영화정이 건립된 후 진 목정에서 행해 지던 신구 유수끼리의 교구(交龜)의식은 이 곳으로 옮겨진 듯하다. 현재의 영화정은 만석거를 공원화하면서 1996년 10월 에 건립했는데, 8칸의 평면 구조를 하고 있으며 1고주(高柱) 5량(樑), 겹처마의 팔 작집으로 익공(翼工)이 없는'ㄱ'자 형태를 갖추고 있다.
진목정(眞木亭)
진목정이 있던 자리는 정자3동 295번지 쯤으로 조기정 저수지(옛이름 만석거) 옆, 백조 아 파트 앞 언덕이다. 진목정이란 명칭은 참나무가 많은 곳에 지었기 때 문이라고 하며 옛날에 수원 유수(水原留守)가 부임해 올 때 이 정자에서 신구(新 舊) 유수끼리 거북이 모양의 관인을 서로 맞추어 신원을 확인한 다음 사무를 인 수 인계했다고 하여 일명 교구정이라고 했다고도 한다. 오늘날 그 옆의 저수지 를 조기정 방 죽이라고 하는 것은 교구정이란 말이 전해 내려 오면서 변한 것이 다. 진목정은 『화성성역의궤』에도'장안 문을 나와 북쪽으로 5리 쯤인 지하동구 (芝下洞口) 진목정 아래에 개울을 뚝 잘라 방죽을 쌓고 만석거라 이름 하였다.' 라는 기록이 있다. 그러나 만석거가 만들어지고 남쪽 언덕에 영화정이 만들어 지 면서 이 정자에서 행해지는 교구(交龜) 의식은 영화정으로 옮겼을 것으로 보인다.
진목현(眞木峴)·참나무 고개
정자3동 295번지 백조 아파트 앞 얕은 고개를 말한다. 옆으로는 일왕 저수 지 가 있다. 진목현은 참나무가 많아서 붙은 이름이라고 하며, 이 곳에 진목정(眞木 亭), 또는 교구정(交龜亭) 이라고 하는 정자가 있어 신임 유수가 정자에서 전임 유수와 만나 거북이 모양의 관인을 맞추어 보고 업무를 인수 인계했다고 한다. 정자동(亭子洞)이란 지명은 이 정자가 있음으로 해서 생겼다고 하는데, 산일정 에 대 해 도움말을 준 주민들은 산일정때문에 정자동이란 지명이 붙여졌다는 주장 을 하고 있다.
효자문(孝子門)
효자문은 정자3동 480번지, 선경 중앙 연구소 북동쪽에 있었다. 1823년에 태어 나 정 3품 통대부를 지냈으며 사헌부 감찰, 연일 현감 겸 병마절제도위를 지낸 조 존용(趙存庸)의 효행을 높이 사 임금이 내린 문으로 최근까지 나무 현판이 있었 으나 후손이 1998년 용인시 원삼면으로 옮겨 갔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