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페이스북 공유 인쇄

게시물 내용

♨ 폭염대비 행동 요령 안내 ♨
작성일
2008-07-21
작성자
송죽동
무더울 땐 이렇게 준비하세요 !
【사전 준비사항은】

- 라디오나 TV의 무더위관련 기상상황에 매일 주목하세요
- 정전에 대비 손전등, 비상 식음료, 부채, 휴대용 라디오 등을 미리 확인해 두세요
- 집에서 가까운 병원의 연락처를 확인하고 본인과 가족의 열사병 등 증상을 체크하세요
- 단수에 대비하여 생수를 준비하고 생활용수는 욕조에 미리 받아 두세요
- 냉방기기 사용시는 실내·외 온도차를 5℃내외로 유지하여 냉방병을 예방하세요.(건강 실내 냉방온도는 26℃~28℃가 적당)
- 변압기의 점검으로 과부하에 사전대비하세요.(특히, 오래된 공동주택은 각별히 주의)
- 창문에 커튼이나 천 등을 이용, 집안으로 들어오는 직사광선을 최대한 차단하세요.
- 차량의 장거리 운행계획이 있다면 도로의 변형 등으로 교통사고 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신중히 검토하세요

■ 폭염주의보 발령시 일반 가정 등 에서는

- 야외활동을 자제하세요(부득이, 외출을 할 경우 창이 넓은 모자착용 및 가벼운 옷차림을 하고 꼭 물병 휴대)
- 물을 많이 마시되 너무 달거나 카페인이 들어간 음료, 주류 등은 마시지 마세요
- 냉방이 되지 않는 실내의 경우 햇볕이 실내에 들어오지 않도록 하고 맞바람이 불도록 환기를 하고 선풍기를 켜세요
- 창문이 닫힌 자동차 안에 노약자나 어린이를 홀로 남겨두지 마세요
- 거동이 불편한 고령, 독거노인, 신체허약자, 환자 등은 외출을 삼가고 이들을 남겨두고 장시간 외출시는 친인척·이웃 등에 보호를 의뢰하세요
- 탈수 등의 이유로 소금 등을 섭취할 때에는 의사의 조언을 들으세요
- 현기증, 메스꺼움, 두통, 근육경련 등 열사병 초기증세가 보일경우에는 시원한 장소로 이동하여 몇분간 휴식을 취한 후 시원한 음료를 천천히 마시세요
- 기온이 최고에 달하는 12시~오후 4시 사이에는 최소한 2시간은 냉방이 가능한 건물에 머무르세요.

■ 폭염경보 발령시 일반 가정 등 에서는

- 12시~오후 4시 사이에는 야외활동을 금지하세요
- 준비없이 물에 들어 가거나 갑자기 찬물로 사워를 하지 마세요(심장마비 위험)
- 선풍기를 창문쪽으로 돌려 환기를 유도하세요(선풍기를 장시간 연속 사용은 자제)
- 늦은 시간의 과다한 운동은 숙면을 방해하므로 자제하고 정신적 긴장감을 줄 수 있는 드라마 시청, 컴퓨터 게임 등을 삼가세요
- 넉넉하고 가벼운 옷을 입어 자외선을 방지하고 노출부위는 썬크림 등 자외선 차단제를 발라 피부를 보호하세요
- 어린아이를 데리고 야외에 나갈 경우에는 두꺼운 담요나 옷으로 감싸지 마세요
- 거동이 불편한 고령, 독거노인, 신체허약자, 환자 등은 외출을 금지시키고 가족 및 친척·이웃이 수시로 상태를 점검하세요


++++++++++++++++++++++++++++++++++++++++++++++++++++++++++++++
+++++++++폭염에 의한 장애 및 응급처치요령〔소방방재청]+++++++++
++++++++++++++++++++++++++++++++++++++++++++++++++++++++++++++


☆ 일 사 병
□ 원 인
○ 더운 곳에서 열심히 운동을 하였거나 장시간 햇볕을 쬐면 일어나는 것
□ 증 상
○ 토할 것 같은 느낌과 어지러움, 두통, 경련, 일시적으로 쓰러질 수 있음
□ 응급처치
○ 시원한 장소로 옮김
○ 편안한 자세로 보여주고 옷을 벗겨줌
○ 부채질을 해주거나 이온 음료 또는 물을 준다 단, 의식이 없으면 입으로 아무 것도 주지 않음

<주 의 사 항>

○ 일사병은 보통 시원한 곳에서 안정시키면 좋아지는 경우가 많으나 주위가 덥고 의식이 없어졌다고 하여 다 일사병은 아니다 따라서 의식이 없는 환자는 의료기관에서 확인하는 것이 중요

☆ 열 사 병
□ 원 인
○ 격렬한 신체활동, 밀폐된 공간 거주, 잠겨진 차량 안
○ 신체가 조절할 수 있는 체온의 방어기전보다 더욱 많은 열을 받을 때에 발생
○ 환자의 체온조절 기능이 중단
○ 생리적 방어기능이 소실되면 높은 체온에 의하여 신체조직이 파괴되고 사망
□ 증 상
○ 이런 환자들은 피부가 뜨겁고 건조하며 붉은 색을 띠고 땀을 흘리지 않을 수 있는 것이 특징임
○ 의식은 혼수상태 ,통증자극에 무반응, 체온은 41도 정도
○ 초기 맥박은 빠르고 강하나 시간이 경과하며 약해지고 혈압은 저하
□ 응급처치
○ 시원한 장소로 환자를 옮김
○ 옷을 벗기고 젖은 수건이나 담요를 덮어주고 부채질을 해줌
○ 가장 중요한 것은 체온을 내려주는 것임
○ 병원으로 이송하여 신속히 치료를 받음

<주 의 사 항>

○ 열사병 환자는 몸의 표면보다 중심체온이 상승한 것이 근본적인 문제, 따라서 겉의 피부만 시원하여서는 근본적 처치가 되지 않음
○ 즉 얼음물로 환자를 식혀 체온을 낮출려고 하였다가는 몸 표면의 혈관이 수축되어 몸 안의 열이 잘 발산되지 않음
○ 따라서 혈관이 수축되지 않을 정도의 너무 차지 않은 물로 자꾸 닦아주고 바람을 일으켜 열이 증발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함
○ 사망에 이를 수 있는 응급 상황이므로 신속한 이송도 중요

☆ 열 경 련
□ 원 인
○ 더운 기후나 심한 운동 후에 주로 나타남
○ 신체의 수분과 전해질 손실
□ 증 상
○ 손과 발, 복부에 경련, 때로는 어지러워 쓰러질 수도 있음
□ 응급처치
○ 환자를 그늘지고 시원한 장소로 옮겨서 편안한 자세를 해줌
○ 부채질을 해주거나 이온 음료 또는 물을 준다 단, 의식이 없으면 입으로 아무 것도 주지 않음
○ 경련이 있는 부위는 압력을 주어 맞사지 하거나 찬 수건을 대어주는 것이 좋으며, 만약 경련이 계속 된다면 병원으로 이송



-------------------------민 간 요 법------------------------------


1) 식초 : 식초를 끓이면 증기가 나오는데 환자의 코를 대고 증기를 들이마시게 한다 갑자기 식초가 없을 때에는 암모니아수 같은 것을 코에 대고 그 냄새를 맡게 한다 환자가 의식을 잃고 쓰러졌을 때 의식을 회복 시키는 데 효과가 있다

2) 박하 : 박하잎을 짓찧어 코 밑에 대주거나 박하뇌를 물에 풀어 솜에 묻혀 코 밑에 대준다 환자의 의식이 회복되면 찬물에 박하뇌를 약간 섞어서 마시게 한다

3) 오미자 : 오미자 10g을 따뜻한 물 100ml에 담가서 우린 물을 하루 3번에 나누어 먹는다 또한 달임약을 만들어 놓고 높은 열이나 햇볕에서 일하기 전이나 일한 다음에 마시면 일사병을 예방할 수 있다 갈증을 멈추게 할 뿐 아니라 몸 안에 열이 울체되는 것을 막으며 가슴이 답답한 증상을 낫게 한다

4) 오이 : 오이꼭지 6g을 물 500ml에 넣고 달여서 식힌 다음에 마신다 오이를 잘 게 썰어 짓찧은 다음 천에 싸서 즙을 내어 먹는다 오이는 신선한 향기를 낼 뿐 아니라 사람 몸에 이로운 여러 가지 비타민, 광물질이 많다 머리가 아프고 열이 높아질 때 먹으면 증상이 점차 없어진다

5) 녹두 : 녹두 생것을 짓찧어 즙을 내든가 녹두를 물에 넣고 달여서 그 물을 마신다 또한 녹두 50g에 쌀 30g을 넣고 죽을 쑤어 먹는다 일사병으로 열이 나고 가슴이 답답하며 맥이 없을 때 먹으면 효과가 있다

6) 부추즙을 만들어 한 컵 마시거나 황토흙을 물에 개어 배꼽에 얹어 놓는다

7) 여름철엔 수분의 보충만으로는 안된다 반드시 소금을 적절히 섭취하여야 한다 직접 소금을 섭취하기 어렵다면 다시마 같은 것을 우려서 짜게 먹는 것도 한가지 방법이다

콘텐츠 담당 :
각 부서    Tel.
페이지 만족도 평가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와 편의성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정보성
편의성